우울증 진단

한국우울증연구소-우울증 진단기준

강용 대표 2009. 11. 9. 14:43

우울증의 진단은 ?

 

주요우울장애의 진단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A. 다음의 증상 중 5가지(또는 그 이상)가 동일한 2주일 기간 동안에 나타났고 과거의 기능과 차이를 나타냈다; 적어도 하나의 증상이 (1) 우울한 기분 또는 (2) 흥미 또는 즐거움의 상실이다.

 

1) 거의 하루 내내의 우울증.

 

주관적 보고(예 : 슬프거나 공허하다)나 타인에 의한 관찰(예: 눈물을 글썽인다)에 의해 나타난 거의 매일 또는 거의 하루 내내 우울한 기분.

 

2) 거의 매일 모든 것 또는 거의 모든 것, 거의 하루 대부분의 활동에서 현저히 감소된 흥미(주관적 설명 또는 타인에 의한 관찰로 나타나듯이)/

 

3) 식이요법하지 않는 중에 의의 있는 체중감량과 체중증가(예:1개월에 체중의 5% 이상 변화) 또는 거의 매일 식욕의 감소 또는 증가.

 

4) 거의 매일 불면 또는 과수면

 

5) 거의 매일 정신운동흥분 또는 지체)단순히 안절부절 또는 느려진다는 주관적 느낌뿐 아니라 타인에 의해서도 관찰 가능한).

 

6) 거의 매일 피로 또는 에너지 상실.

 

7) 거의 매일 무가치감 또는 과도하고 부적절한 죄책(망상적일 수도 있다) (단순한 자기 비난이나 아픈데 대한 죄책 아닌).

 

8) 거의 매일 사고와 집중능력의 감퇴 또는 결정곤란(주관적 설명 또는 타인에 의해 관찰되어지듯이).

 

9) 반복적인 죽음에 대한 생각9죽음에 대한 공포 아닌), 구체적 계획이 없는 반복적인 자살사고, 또는 자살시도나 자살을 자행하려는 구체적 계획.

 

 

B. 증상은 혼합삽화의 기준에 맞지 않아야 한다.

 

 

C. 증상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고통을 일으키거나 또는 사회적, 직업적, 다른 중요한 기능영역에서 손상을 일으킨다.

 

 

D. 증상은 물질에 대한 직접적 생리적 효과(예: 남용약물, 치료약물) 또는 일반적 의학적 상태(예 :갑상선기증저하증) 때문이 아니라야 한다.

 

 

E. 증상은 사별로 더 잘 설명되어지지 않는다. 즉, 사랑하는 이를 잃고 나서 증상은 2개월 이상 지속되며, 현저한 기능적 손상, 무가치감에 병적 집착, 자살의도, 정신병적 증상, 또는 정신운동지연의 특징이 있다.

 

 

 

한국심리상담센터 상담문의--(02) 545-7080 / (02) 545-4494
논현역 6번출구 한양빌딩 4층

 

한국우울증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mykd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