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연구

우울증의 원인

강용 대표 2021. 1. 27. 14:27

우울증의 원인

 

생물학적요소/ 유전적요소 / 심리사회적 원인

1)생물학적 요인

중추신경계에서 세로토닌 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생화학 물질의 감소로 우울증이 생깁니다.신경호르몬의 조절이상으로 우울증이 생깁니다.수면 리듬의 이상이나 계절의 변화로 우울증이 생깁니다.뇌를 구성하고 있는 구조물의 이상으로 우울증이 생깁니다.

 

2)유전적 요인

보통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우울증에 걸릴 확률은 15%가 넘습니다.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지만 아직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부모가 우울증일 때 자녀가 우울증이 생길 확률이 정상인보다는 조금 높습니다.

 

3)심리사회적 원인

생활사건과 스트레스 우울증환자를 조사해 보면 발병 전 상당기간 동안 생활사건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있었습니다. 특히 11세 이전에 부모를 잃는다든지, 배우자상실, 죽음, 이별, 실패, 실망, 불화 등의 생활사건으로 인해 우울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 격

 

우울증이 잘 생기는 성격이 있습니다.

 

  • 쉽게 불안을 느끼며 고민이 많은 성격,

  • 혹은 주변상황에 대해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성격

  • 수줍음이 많고 대인관계를 꺼리는 성격

  • 자기자신을 쉽게 비난하거나 자존감이 낮은 성격

  • 대인관계에 예민한 성격

  • 완벽주의

  • 자기 중심적인 성격

 

 

처음 네 가지 성격유형에 해당되는 사람들은 우울증이 걸릴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완벽주의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서는 우울증의 발병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우울증이 발생했다면 더 오랜 기간을 앓을 수 있습니다. 자기 중심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짧은 기간의 우울증에 더 취약합니다.

 

 

우울증의 원인---학자들의 견해

 

 

정신분석적 원인(정신분석학자들의 견해)

 정신분석적으로 볼 때 우울증은 분노가 자신에게로 향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면, 가까운 사람과 사별을 하였을 때 우울증 환자들은 보통사람들의 슬픔과 달리 죽은 사람에 대한 죄책감을 갖고 심한 자기 멸시감을 갖습니다.

 

그들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슬픔과 함께 분노가 생기며 자신이 잘못했기에 죽었다고 생각하여 그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어렸을 때 부모와의 이별의 경험이 많았던 경우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에 대하여 예민하게 반응함으로 이별이나 상실을 접할 때 우울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그러나 아동기에 부모와의 이별을 경험한 사람이 모두 우울증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게 됩니다. 또한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은 자존심이 낮고 자기비하를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학습된 무기력(실험심리학자들의 견해)

실험적으로 동물들을 피할 수 없는 고통에 반복되도록 노출시키면 나중에는 피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도 포기 상태가 되어 피하려 하지 않게 됩니다. 이것을 학습된 무기력이라 하고 우울증 환자 중 이런 상태에 빠진 사람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포자기에 빠진 사람은 환경의 조절과 정복감을 심어주어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인지기능의 손상(인지학자들의 견해)

 어떤 우울증 환자는 매사를 부정적으로 봅니다. 이런 시각이 반복되면 자신은 결함이 많고 가치가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에 빠지게 됩니다. 많은 경우 어렸을 때 겪은 부정적인 경험이 남아있어 자신에게 해당하는 모든 일을 부정적으로 해석합니다. 그러다 보면 결국 부정적인 결과가 생기고 더욱 더 자신감이 상실됩니다.

 

 

한국심리상담센터

031-226-9197

http://www.mykpc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