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장애의 치료
1. 심리요법(정신역동,인지행동요법)
(1)정신역동 요법:환자가 억압된 갈등을 통찰하는 것을 도와주고 내면의 적대감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격려,환자의 우울증 저변에 깔린 잠재적인 동기를 발굴하는데 치료목표를 두며 아동기의 상실 및 부적합감과 그 이후에 발전하는 자책감에 대해 통찰하도록 도와준다.
(평가:우울증 경감에 대한 정신역동적 심리치료의 업적에 대한 연구는 드물고 정신분석적 심리요법의 접근방법들도 너무 다양하여 그 결과들도 일관성이 없다)
(2) 인지행동요법: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의 부정정이고 비논리적인 사고 패턴을 발굴하고 주변사건, 자기자신 및 역경을 보다 현실적으로 보는 방법을 가르치므로서 자기관과 세계관을 바꾸도록 설득한다.-Elis의 정서요법-Beck의 인지행동요법: 환자에게 무언가를 실천하도록 격려하고 활동과제를 부여하여 인지재구조화 작업시도,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의 논리상 오류나 부정적 신념의 교정없이 행동변화 그 자체만으로는 우울증의 경감이 어렵다.
2. 생물요법(전기충격요법,약물요법)
(1) 전기충격요법(전기경련요법):20세기 초 cerletti, Bini로 부터 출발 간질발작 유도 1938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기법을 사용. 그후 10년간 정신분열증과 심각한 우울증 환자 모두에게 시행. 오늘날에는 아주 심한 우울환자들에게만 제한적으로 사용됨. /환자의 두뇌 속으로 70~130볼트의 전류를 방출, 경련발작과 일시적 무의식 상태를 유발,신진대사 활동을 저하시키고 뇌로 혈액 순환이 되는 것을 감소시켜서 비정상적인 뇌 활동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보임. /방법적인 여러가지 문제와 내재된 위험(기억상실, 혼란)윤리적 핸디켑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전혀 하지 않았을 때의 결과의 심각함을 고려, 선택적 제한적으로 실시된다.
(2) 약물요법
-기분장애를 치료할 때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 삼환제, 세로토닌 선택성 재흡수 억제제등이 널리 사용, 신경전도를 촉진시켜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여짐.
-처치과정이 모두 끝난 환자들 중 65~70%에서 성공적이지만 모든 사람들에게 다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때에 따라 부작용이 심각할 수도 있다.
-약물은 회복 후에도 꾸준히 복용하고 치료시 효과를 가져왔던 만큼의 효과유지 복용량도 충분히 복용해야효과적.
-대인관계 요법같은 심리처치도 약물요법에 병행해야(Frank등1990)하며 항우울제는 다른 종류의 심리치료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심리상담센터 상담문의--(02) 545-7080 / (02) 545-4494
논현역 6번출구 한양빌딩 4층
'우울증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우울증연구소-우울증상담. 치료 (0) | 2009.11.09 |
---|---|
한국우울증연구소-일상생활에서 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0) | 2009.11.09 |
우울증 상담 - 우울증의 고찰과 치유상담 (0) | 2009.08.19 |
우울증 상담 - 많은 우울증 환자들이 약물치료보다 상담치료를 원해 (0) | 2009.08.19 |
우울증- 우울증의 치료 방법 (0) | 2009.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