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갱년기 우울증

갱년기 주부 우울증

by 강용 대표 2023. 1. 23.

갱년기 주부 우울증

55세의 A부인은 최근 조용한 바닷가에서 삶과 이별하고 싶은 생각
뿐이다. 처음에는 쉽게 피곤해지고 잠을 설치는 일이 잦아지더니,
사고한 일에도 신경이 쓰이고 걱정거리가 많아졌다.

정말 괴로운 것은 이유없이 가슴이 답답해지고 만사가 다 귀찮아
지는 것이다. 최근 A부인은 중년의 여인이 겪을 수 있는 풍파를
경험하였다. 2년전에는 은행원이었던 남편이 퇴직하였고, 지난달
애는 딸이 혼인을 하였으며 4년전부터 월경이 없었다.

 



A부인이 호고하는 이러한 어려움은 전형적인 갱년기 우울증의 증상이다.

또 이 부인과는 달리 소화가 안 되거나 가슴이 뛰는 신체증상이나 집중력이 떨어지고

건망증이 심해진다는 등의 인지기능 장애를 나타내는 환자도 있다.

이처럼 공들여 키운 자식들이 모두 결혼 등으로 집을 떠나면 텅빈집에 홀로 남은 어머니는

마치 빈둥우리에 앉아 있는 어미새같은 허전한 마음과 인생 무상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빈 새둥우리 증후군(Emptynest syndrome)이라고 한다.

의욕저하나 피로감, 느려지는 행동 그리고 슬픈 감정들이 갱년기 여성에서 발생할 때

주위에서 흔히 "나이가 드니까 저러지" 또는 "그럴만한 일이 있으니까 저러지" 하고 생각하는데,

나이가 든다고 해서"풀이 죽어 지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 못된 것이다.



◆ 폐경이후 호르몬 감소로 발병할 수 있다.



과거에는 갱년기 우울증의 원인을 "상실감"등의 사회 심리적 원인으로 설명해 왔으나

최근에는 신경생물학적 원인이 갱년기 우울증 발현에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증거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폐경을 전후하여 여성의 난포 호르몬은 급격하게 하락한다. 이러한 난포호르몬의 감소는

심장의 관상동맥 질환 위험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대뇌변연계 - 시상하부 - 뇌하수체라는 축의 스트레스 호르몬들을 활성화 시킨다.

이와같은 신체적 변화는 대뇌 미세동동맥의 경화성 병변(백질뇌병증)을유발시킬 수 있다.

즉 갱년기 이후의 내분비계의 변화는 대뇌의전두엽과 기저핵에 산재된 신경 세포군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우울증상이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갱년기 우울증 환자의 대뇌 전두엽과 기저핵 부위에서 자기공명단층 촬영상 발견되는

백질뇌병증과 이 부위의대사율이 떨어진다는 연구보고는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 적절한 치료로 완치 가능하다.



18세기 무렵까지만 하더라도 인간의 평균 수명이 짧아서 여성은 살아 있는 한 평생 동안 아이를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의학이 발전되고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결국 인간은 갱년기 이후의

삶을 준비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열악한 가족환경이나 사회적 지지도는 환자의 예후를 어둡게 한다는 역학 연구 보고는 이를반증하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갱년기 우울증상은 항우울제의역물요법이나 전자 파동요법등의 치료에 대단히

우수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어 치료에는 별 다른 문제가 없다 하겠다.



◆ 이럴 경우는 우울증상이니 참고하세요.



아래 항목에서 2주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체크해보세요.

1. 계속되는 우울, 불안, 혹은 공허감
2. 성생활을 포함하여 한때 즐거웠던 일이나 취미생활에서의 의욕 및 흥미 상실
3. 절망적인 느낌, 염세적 사고
4. 죄책감, 무가치 혹은 무기력감
5. 불면, 아침에 일찍 깨거나 과다한 수면
6. 식욕감소나 체중감소, 과식이나 체중증가
7. 힘이 없고 피로하며 몸이 쳐지는 기분
8.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생각, 자살기도
9. 조감, 쉽게 짜증이 남
10. 집중력 및 기억력 저하, 의사결정을 하는데 어려움
11. 두통, 소화기장애 또는 만성통증등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계속되는 신체증상

체크 하셨나요?

여기서 2가지 이상이 해당되면 초기우울증,

5가지이상이면 심한 우울증 증상이라고 합니다.

 

우울증이시라구요?

절대로 걱정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