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치료

색채에 의한 성격 분석

by 강용 대표 2020. 9. 25.

색채에 의한 성격 분석

 

 

Ⅰ. 색채의 분석

 

 

1. 그림 속에 표현된 색채는 내담자의 정서와 일반적으로 일치한다.

 

2. 색채는 정서나 내담자의 성질을 가장 잘 반영시켜 준다.

 

3. 여성이 사용하는 색채는 남성이 사용하는 색채보다 더 강렬하면서 지속적이며, 더 흥미를 보인다.

 

4. 색채보다는 선이나 형태에 관심이 많은 내담자는 자기방어 경향이 크고 사물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지적인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색채는 감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5. 충동적인 내담자는 색채에 더 관심을 보인다. "적응 행동으로 변함에 따라서 색채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다."

 

 

Ⅱ. 색채에 따른 심리적인 의미

 

1.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

 

 

▶ 따뜻한 색 : 빨강, 다홍, 주황, 귤색, 노랑

 

자유로운 감정적 행동을 하며, 성격이 밝고 의욕적이다. 동정적이고, 많은

 

애정을 갖고 있어 다른 사람과 협조적이다. 그러나, 자기 중심적인 경향이

 

있다.

 

 

▶ 차가운 색 : 파랑, 바다, 청록, 검정, 감청, 남색

 

사회 질서에 대해서 순응하는 경향이 있고, 스스로를 통제하며 다른 사람에

 

게 비판적이고 마음을 쉽게 열지 않는다. 매우 계획적이고 지적이며 다른 사

 

람에 대해 비판적이고 공격적이고 의지가 강하다. 그런 반면, 매우 이기적이

 

며 타인에 대한 관심이 적고 독립적이고 자기 주장이 강하다. 홀로 있는 경

 

향이 많다.

 

 

▶ 중성 색 : 보라, 자주, 연두, 녹색, 노란 연두, 풀색, 남보라, 붉은 보라, 연지

 

 

 

 

2. 색채에 대한 의미와 치료 효과

 

 

① 빨강 : 공격적이며 불만이 많고 남을 잘 비난하다.- 우울증, 저혈압, 노이로제

② 주황 : 애정의 결핍 - 강장제, 무기력, 공장의 위험표시

③ 노랑 : 애정 요구, 의지, 박약- 고독을 위로하는 색, 주의력 환기, 신경증의 치료

④ 파랑 : 복종, 순종적이며 책임감이 강하다.- 마취성, 열정을 식히는 색

⑤ 초록 : 자신을 자제하고 충동을 억제하며, 허약한 상태, 피곤한 상태를 표현

 

- 이론적인 생각 추진, 상담실의 벽

 

⑥ 갈색 : 물질적인 욕구와 식욕 등과 같은 현실에 대한 욕구 불만, 도벽의 성향이 있는 아동들에게 많이 나타남.

 

⑦ 보라 : 몸에 병이 있거나 친구에게 버림받은 아이들에게 많이 나타난다.

 

- 신앙심 유발, 예술적인 느낌

 

⑧ 분홍 : 몸에 열이 있거나 마음이 아플 때, 고통스런 육체의 상태를 나타내 준다.

 

⑨ 검정 : 억압적인 마음의 상태, 공포나 불안으로 두려움을 표현하는 색이다.

 

주변의 간섭으로 스스로를 억압한 어린이가 많이 쓴다. 주변에 대한 공포, 가정

 

생활의 결함에 대한 공포를 표현한다. - 예복이나 상복

 

⑩ 흰색 : 자신감이 없거나 소극적이고 무기력한 외부 세계에 대한 경계심, 실패감

- 고독감을 일으킴, 청결함

⑪ 회색 : 태도가 명확하지 않고 사물에 대해 만성적인 불안한 느낌을 표현하는 색이다.

- 점잖고 침울한 분위기

 

 

 

 

3. 혼색이 갖는 색의 의미

 

 

① 빨강+보라 : 출혈을 뜻함.

② 빨강+초록 : 성숙이나 성의 상징, 성적인 문제가 있을 때, 성폭행

③ 빨강+검정 : 부모 중에 엄마의 애정결핍, 엄마에 대한 욕구 불만이 있을 때 자식에게 문제가 있을 때

④ 빨강+파랑 : 형제나 친구간에 경쟁적인 의식이 많은 아이나 그 사이를 시기, 질투할 때

⑤ 파랑+노랑 : 내부적인 심리 상태가 갈등을 일으킬 때, 즉 근심과 고뇌가 많을 때

⑥ 검정+노랑 : 아버지와 아이 사이에 애정 문제가 있을 때, 부친의 사망 예고

⑦ 검정+초록 : 아이들이 학대를 받거나 계모 밑에서 살거나 정신이상의 어머니가 있는 경우 많이 쓴다.

⑧ 검정+갈색 : 도벽의 경향이 있는 아이들의 많이 쓴다.

⑨ 검정+보라 :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엄마를 가진 아이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색

⑩ 검정+흰색 : 만성적인 공포심이 있는 아이들, 자신감이 없는 아이들

⑪ 파랑+주황 : 코를 많이 흘리거나, 야뇨증이 있는 아이들에게 많이 나타남. 즉 불결한 환경의 상태를 의미한다.

⑫ 보라+주황 : 간질병, 저능아, 정신적인 충격을 받은 아이들에게 많이 나타남.

⑬ 초록+흰색 : 슬픈 환경이나 슬픔에 직면했을 때, 비애의 색

⑭ 보라+분홍 : 일본의 오또구시 화가가 37세 사망

 

 

4. 색채의 구성에 대한 분석

 

 

① 한가지 색에 다른 색을 중첩한 경우

: 먼저 칠한 색은 내면의 심리적인 투사이고 중첩된 색은 외면적인 행동의 경향이다.

② 혼색하는 경우

: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고 외향적이며 적극적인 경향이 있다.

③ 여러 색을 아무렇게나 섞는 경우

: 퇴행, 욕구 좌절에 대한 공격적인 반응

④ 색을 분리해서 칠하는 경우

: 자기 감정을 억제하며, 주변의 기대에 맞추어 자신을 통제하는 경우

'미술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은 신체 기능을 자극한다  (0) 2021.02.22
사회 미술치료로 크게 호전   (0) 2013.02.21
그림요법 Art Therapy  (0) 2009.08.19
미술표현의 유형   (0) 2009.08.19
미술표현의 유형   (0) 2009.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