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여름이 지나고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우울해지는 사람들이 있다. 무기력증에 시달리거나 어떤 일에도 흥미를 잃는다. 이를 계절성 우울증이라고 한다. 햇빛의 양 감소와 일조 시간의 부족이 그 원인으로 지목된다. 계절성 우울증의 원인 우울증을 약물치료 없이 스스로 고칠 수 있는 실천법을 소개한다.
1 가을이 되면 고개 드는 계절성 우울증 여름이 지나면 왠지 축제가 끝난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낙엽이 하나 둘 떨어지면 마음이 바닥으로 가라앉는 것 같다. 이는 계절성 우울증(SAD)증상이다. 계절성 우울증은 가을과 겨울에 우울증상과 무기력증이 나타나다가 봄과 여름이 되면 증상이 나아진다.주로 북유럽에서 많이 발견되는 우울증으로 햇빛의 양과 일조 시간의 부족이 에너지 부족과 활동량 저하, 슬픔, 과식, 과수면을 일으키는 생화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절성 우울증을 앓게 되면 우울증 기간 동안 많이 먹고, 단 음식과 당분을 찾으며, 신체적으로 늘어지는 느낌을 갖는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자주 나타나고 이런 증상은 10대부터 시작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겨울이라도 밖에 나가 하루 1시간 이상 자연광을 쐬고 집에 있을 때는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열어 자연광이 충분히 들어오도록 한다. 병원에서는 매일 일정 기간 동안 강한 광선에 노출시키는 광선요법을 사용한다. 약물치료로는 항우울제를 투여하며, 정신과 치료도 효과가 있다
2 약 없이 집에서 우울증 치료하는 실천법「아침형 인간」의 저자 사이쇼 히로시는 「마음을 치료하는 약상자」에서 우울증을 고치는 12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신경정신과에 찾아가는 것이 두렵고, 항우울제의 부작용이 두렵다면 약 없이 집에서 스스로 치료하는 실천법에 관심을 가져보자. 이 중 8가지는 남의 도움 없이 혼자 해내는 것이고, 나머지 네 가지 방법은 통신으로 심리치료를 받거나, 모임에서 발표를 하거나, 강연회에서 고민을 나누거나, 침과 뜸 혹은 심리치료를 통해 치유해 나가는 방법이다.
이 중 집에서 혼자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1 일찍 일어나기 눈을 뜨면 바로 일어나자 눈을 뜨자마자 바로 일어나서 체성신경을 자극하고 자율신경을 움직여 건강한 몸을 만들어간다.
기상 시간은 아침 5시! 이 시간에 일어나는 것을 목표로 새로운 하루를 시작하자. 중요한 것은 눈을 뜨면 즉시 벌떡 일어나야 한다. 이 동작이 우리의 몸과 마음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잠이 덜 깼다고 느낄 때는 가벼운 체조로 몸을 깨운다. 당장 5시 기상이 어렵다고? 그렇다면 5시를 목표로 매일 30분씩 기상 시간을 앞당기자.
2 다짐하기 목표를 세우면 자신감이 생긴다
자신이 막연하게 품는 ‘이렇게 되고 싶다’, ‘이렇게 하고 싶다’라는 마음을 다짐 노트에 명확하게 문자로 써서 표현한다. 그리고 그것을 매일 다짐하기 시간에 읊조린다. 이 행위는 무엇보다 잠재의식을 개혁하는 것으로 자기암시와 자기계발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이것이 결국 마음의 안정으로 이어진다. 다짐하기는 일찍 일어나기와 함께해야 효과가 있다. 일찍 일어나기를 실행하려면 반드시 결심이 필요하다. 결심이 확실하다면 무슨 일이든지 성취할 수 있다.
3 다짐 노트 읽고 쓰는 것으로 자신을 바꿔 나간다 막연하게 품는 자신의 이미지가 있다.
그러한 자신을 자세히 분석해보면 의외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대인관계에 대해 반성할 점을 열거한다. 부모, 형제, 아내, 남편에 대한 태도, 연인, 이성, 선배에 대한 태도, 일, 육아, 식사, 습관에 대한 태도 등 세분화해서 써본다면 자신의 실체가 보일 것이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간단한 문장으로 바꾸어 노트에 쓴다.
4 이른 아침 산책하기
상쾌한 아침 공기가 몸과 마음을 회복시킨다 아침의 신선한 공기를 들이마시면 심신이 상쾌하게 깨어난다. 일단은 밖으로 나가서 걸어보자. 걷기는 몸에 가장 좋은 운동이다. 몸 상태가 안 좋아지면 대부분 사람들은 움직이려고 하지 않고 차를 이용한다. 그러다 보면 운동량은 점점 감소한다. 우울한 상태에 빠져 있다면 걷는 횟수가 급격히 줄어들었을 것이다. 건강을 되찾으려면 걷기를 시작하자. 걷기가 얼마나 몸에 좋은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래 걸을 때는 수분을 충분히 보충하자.
5 이른 아침 체조하기 요가로 몸과 마음을 깨우자
아침 산책에서 돌아와서 상쾌한 기분으로 체조를 실시한다. 아침시간에는 맨손체조나 스트레칭 같은 것도 좋지만 몸을 느긋하게 움직이는 요가가 좋다. 요가를 할 때는 절대 무리하지 말고 천천히, 긴장과 이완을 균형 있게 실시한다. 또, 한 가지 자세를 30초 이상 유지한다.요가 동작을 하면 몸이 조정되면서 평소에 쓰지 않는 근육을 사용하기 때문에 피로가 풀려 깊은 수면을 취할 수도 있으니 가능하면 밤에도 하는 것이 좋다.
'우울증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ㆍ우울증에 신경조절치료법 뜬다 (0) | 2009.11.11 |
---|---|
“끈끈한 집단문화 우울증 발생 낮춰” (0) | 2009.11.11 |
우울증 심하면 옛고통 과장해 엄살 (0) | 2009.11.11 |
우울증 앓는 젊은 여성 '골다공증' 경보 (0) | 2009.11.11 |
性交痛, 우울증·스트레스 밀접한 관련 (0) | 2009.11.11 |